로고

김의직

김의직

소속

한림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AI요약

한림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김의직 교수님은 사물인터넷(IoT), 동시 무선 정보 및 전력 전송(SWIPT), 인공지능(AI)을 융합한 차세대 무선 통신 기술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자입니다. 교수님의 연구는 초저전력 IoT 환경에서 딥뉴럴 네트워크 기반의 실시간 고정밀 데이터 처리 및 효율적인 무선 자원 운용 플랫폼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무선 인체 통신, 산업용 IoT, 헬스케어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하며 스마트 연결 사회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축적된 연구 과제 수행 경험과 다수의 논문, 특허를 통해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입증하고 계십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김의직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김의직
직책교수
이메일ejkim32@hallym.ac.kr
재직 상태재직 중
소속한림대학교
부서 학과소프트웨어학부
사무실 번호0332482333
연구실융합정보통신 연구실
연구실 홈페이지https://cic.hallym.ac.kr/
홈페이지https://cic.hallym.ac.kr/people

경력정보

회사명한림대학교
재직기간2021.01.01 ~ 재직 중
담당업무정보전산원장
회사명IEEE
재직기간2020.01.01 ~ 재직 중
담당업무Senior Member
회사명한국전파진흥협회 (RAPA)
재직기간2016.01.01 ~ 재직 중
담당업무자문위원
회사명한림대학교
재직기간2013.01.01 ~ 재직 중
담당업무소프트웨어학부 교수
회사명Oregon State University
재직기간2019.01.01 ~ 2020.12.31
담당업무EECS 방문학자
회사명한국연구재단 (NRF)
재직기간2018.01.01 ~ 2021.12.31
담당업무ICT·융합연구단 전문위원 (RB)
회사명KT 융합기술원
재직기간2009.01.01 ~ 2013.12.31
담당업무선임연구원
회사명삼성전자 DMC연구소
재직기간2006.01.01 ~ 2009.12.31
담당업무선임연구원
회사명인텔 코리아 R&D센터
재직기간2005.01.01 ~ 2005.12.31
담당업무연구원

중요 키워드

#머신러닝#위치추정#강화학습#저전력#딥러닝#IoT#BLE비콘#SWIPT#산업용IoT#에너지효율#MAC프로토콜#헬스케어#무선통신#센서네트워크#빅데이터

대외활동

활동 내용[학회/위원회 활동] - IEEE Senior Member - 한국전파진흥협회 (RAPA) 자문위원 - 한국연구재단 (NRF) ICT·융합연구단 전문위원 (RB) [기술 협력] - M2TECH Co., Ltd.와의 협력: 위치 기반 어린이 안전 통합 솔루션 기술 개발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연구 분야] 핵심 분야: 무선 네트워크, 사물인터넷(IoT), 무선 전력 전송(SWIPT) 세부 분야: 딥러닝/머신러닝 기반 데이터 분석, 통신 프로토콜 설계 (MAC, TSCH), 헬스케어 시스템, 산업용 IoT, 위치 기반 서비스 [대표 연구 내용] 저전력 IoT 디바이스의 효율적인 통신 및 데이터 처리, 특히 제한된 에너지 환경에서의 운영과 에너지 하베스팅의 필요성은 현대 스마트 시스템 구축의 핵심 과제입니다. 또한, 복잡한 환경(해상, 산업 현장, 인체)에서 고정밀 센서 데이터의 신뢰성 있는 전송 및 분석은 다양한 서비스의 성공을 좌우합니다. 저의 연구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다음과 같은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 초저전력 및 에너지 효율적 통신: SWIPT(동시 무선 정보 및 전력 전송) 기술을 활용한 저전력 MAC 프로토콜 및 슈퍼프레임 구조 개발을 통해 IoT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을 획기적으로 연장하고 무선 충전 기능을 제공합니다. - 지능형 무선 네트워크 최적화: IEEE 802.15.4 TSCH/DSME, CoAP 등 다양한 무선 통신 표준 기반의 고급 MAC 스케줄링 알고리즘 및 트래픽 부하 관리 기법을 연구하여 네트워크 효율성과 안정성을 극대화합니다. 밀리미터파(mmWave) 통신 환경에서의 지향성 안테나 및 멀티캐스트 전송 연구를 통해 고대역폭 데이터 통신을 최적화합니다. - AI/머신러닝 기반 데이터 분석: 딥뉴럴 네트워크(DNN) 및 머신러닝 모델을 활용하여 BLE 비콘 RSSI 데이터의 고정밀 거리 추정 및 이상치 보정을 수행하며, 산업용 IoT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실행 실패 및 사고 예측 모델을 개발합니다. 강화학습 기반의 채널 액세스 기술을 통해 무선 인체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 분산 및 가상화 스토리지 기술: IoT 로컬 네트워크 환경에서 유클리드 거리 기반 분산 센서 스케줄링 및 센서 저장 공간을 활용한 가상 스토리지 시스템을 제안하여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과 유연성을 높입니다. 이러한 기술 역량은 다음과 같은 사업적 가치를 창출합니다. - 전력 효율성 증대: IoT 기기의 자율성을 높이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여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시티,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장기적인 서비스 운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 정확도 및 신뢰성 향상: 고정밀 위치 추정 및 예측 모델을 통해 공사 현장 안전 관리, 어린이 안전 솔루션, 환자 보행 패턴 분석 등과 같은 응용 분야에서 사용자 안전과 서비스 신뢰도를 보장합니다. - 네트워크 인프라 최적화: 복잡한 IoT 환경에서 데이터 전송 효율을 극대화하고 네트워크 병목 현상을 해결하여 대규모 서비스 구축 및 운영을 위한 강력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 신기술 사업화 기여: 무선 전력 전송, AI 기반 분석, 고급 통신 프로토콜 등 최신 기술을 실제 문제 해결에 적용하여 새로운 시장 기회를 창출하고 기술 상용화를 가속화합니다.

학력

학력 사항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 박사 (2013) 고려대학교 전자컴퓨터공학 석사 (2006)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 학사 (2004)

보유 기술 로딩 중...